맨위로가기

도쿄 메트로 히비야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쿄 메트로 히비야선은 1961년 미나미센주역에서 나카오카치마치역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1964년 전 구간이 개통된 도쿄의 지하철 노선이다. 도부 철도 및 도큐 전철과의 직결 운행을 통해 수도권 광역 교통망을 형성했으나, 2013년 도큐 도요코선과의 직결 운행이 종료되었다. 1995년 도쿄 지하철 사린 사건 당시 피해를 입었으며, 2000년에는 나카메구로역에서 열차 탈선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현재 20m 차량 7량 편성으로 운행되며, 2017년부터 13000계와 70000계 전동차가 투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1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교외선
    교외선은 경의선과 경원선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 1963년 개통되었으나 2004년 여객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2025년 재개를 목표로 공사 중이다.
  • 1961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사쿠라지마선
    사쿠라지마선은 니시쿠조역과 사쿠라지마역을 잇는 JR 서일본 노선으로, 오사카 순환선 직통 운행과 USJ 이용객 수송을 담당하며, 일부 구간은 JR 화물이 화물 열차를 운행하고, USJ 개업 이후 관광 노선으로서 중요성이 커져 엑스포를 대비한 증편 및 연장 계획이 추진 중이다.
  • 도쿄 지하철의 철도 노선 -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
    도쿄 메트로 난보쿠선은 메구로역에서 아카바네이와부치역을 잇는 도쿄 메트로 운영 노선으로, 직결 운행과 첨단 기술 적용, 그리고 시나가와역 연장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 도쿄 지하철의 철도 노선 - 도쿄 메트로 유라쿠초선
    도쿄 메트로 유라쿠초선은 와코시역에서 신키바역을 잇는 도쿄 메트로의 노선으로, 세이부 유라쿠초선 및 도부 도조 본선과 직결 운행하며 도쿄 도심의 주요 지역을 연결하는 핵심 노선망을 구성하고 있고, 1974년 개통 이후 단계적인 연장을 거쳐 1988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2020년대 중반 개통을 목표로 지선 연장이 추진 중이다.
  • 도쿄 메트로 히비야선 - 기타센주역
    기타센주역은 도쿄도 아다치구에 위치하며 JR 동일본 조반선, 도쿄 메트로 히비야선과 지요다선, 도부 철도 스카이트리 라인, 수도권 신도시 철도 쓰쿠바 익스프레스 등 5개 노선이 지나가는 교통의 요지이다.
  • 도쿄 메트로 히비야선 - 히비야역
    히비야역은 도쿄도 지요다구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도쿄 지하철 히비야선, 지요다선, 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미타 선이 지나며 히비야 공원, 제국극장 등 주변 시설과 명소가 많다.
도쿄 메트로 히비야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도쿄 메트로 히비야 선 로고
도쿄 메트로 히비야 선 로고
노선 번호2호선
노선 기호H
다른 이름H
노선색은색 (#b5b5ac)
노선 종류도시 철도
운영 기관도쿄 메트로
소유자도쿄 메트로
상태운영 중
개업일1961년 3월 28일
전체 개통일1964년 8월 29일
사용 차량13000계 7량 편성
도부 70000계 7량 편성
차량 기지센주 검차구
센주 검차구 다케노쓰카 분실
미나미쿠리하시 차량 관구 가스카베 지소 (도부 차량)
노선 길이20.3 km
궤간1,067 mm (협궤)
선로 수복선
전철화 방식직류 1,500 V (가공 전차선 방식)
최대 경사39 ‰ (미나미센주 - 미노와 간)
최소 곡선 반지름126.896 m (히비야 → 가스미가세키 간, A선 (내선))
신호 방식속도 제어식
보안 장치신CS-ATC・ATO
최고 속도80 km/h
1일 이용자 수1,213,492명 (2017년)
수송 실적2,391,622천인킬로 (2019년도)
운영 정보
운영 기관도쿄 메트로
노선 번호2
지리 정보
해당 지역도쿄
기점나카메구로 역
종점기타센주 역
역 수22개
2019년 히비야 선 13000계 전동차
2019년 히비야 선 13000계 전동차
히비야 선 노선도 (2024년)
히비야 선 노선도 (2024년)

2. 역사

1961년 3월 28일, 미나미센주역에서 나카오카치마치 역까지의 초기 구간이 개통되었다.[11] 이후 1962년 5월에는 기타센주역과 닌교초 역 사이, 1963년 2월에는 닌교초와 히가시긴자 역 사이가 개통되었다.[11] 1964년 3월에는 나카메구로 역과 가스미가세키 역 사이 구간이 개통되었다.[11]

1964년 하계 올림픽 개막 직전인 1964년 8월 29일, 히가시긴자와 가스미가세키를 잇는 마지막 구간이 개통되면서 전 구간이 완성되었다.[11] 같은 날, 도큐 도요코선과의 직통 운행도 시작되었다.[11]

히비야선은 1995년 옴진리교가 일으킨 도쿄 지하철 사린 사건의 표적이 된 노선 중 하나였다.

2000년 3월 8일에는 나카메구로역 근처에서 탈선 사고가 발생하여 5명이 사망하고 63명이 부상당했다.[12]

2013년 3월 16일에는 도큐 도요코선과의 직통 운행이 종료되었고, 모든 히비야선 열차는 나카메구로역에서 종착하게 되었다.[14]

제도고속도교통영단(영단지하철)은 1957년 5월 18일, 도시계획 제2호선(히비야선) 건설에 착수하기로 결정했다.[22] 영단지하철은 기타센주 - 닌교초 간, 닌교초 - 토라노몬 간, 토라노몬 - 나카메구로 간의 3구간으로 나누어 건설을 진행했으며, 초기 건설 비용은 348억 9,300만 엔으로 예상되었다.[22] 1959년 5월 1일 최초의 건설 공사가 시작되었고,[23] 1961년 3월 28일 미나미센주 - 나카오카치마치 간 3.7km가 개통되었다.[56]

긴자선의 혼잡 완화를 위해, 특히 도큐 도요코선 승객을 시부야역에서 나카메구로역 경유의 히비야선으로 유도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24] 또한, 미나미센주 방면에 차량기지를 확보하기 위해 이 지역부터 건설이 시작되었다.[24]

도쿄 내 북동쪽의 기타센주역에서 서남쪽의 나카메구로역까지, 긴자역을 중심으로 우에노역, 아키하바라역, 히비야역, 카스가세키역, 롯폰기역, 에비스역 등을 경유하여 연결한다. 대부분의 구간은 기존 도로 아래에 건설되었기 때문에, 교차로 부근은 급커브가 많다. 1964년 도쿄 올림픽에 맞춰 전 구간 개통을 위해, 빠른 속도로 공사가 진행되었다.[56]

도부 철도 및 도큐 전철과 상호 직통 운전을 위해, 궤조는 1067mm(협궤)를, 집전 방식에는 가공 전차선 방식을 채택했다.[27] 지하 구간의 전차선에는 강체 가선 설비를 채택하여 건설 비용 절감에 기여했다.[27]

현재는 기타센주역에서 도부 이세사키선 (도부 스카이트리 라인) 및 동선 경유로 닛코선과 상호 직통 운전을 하고 있다. 2013년 3월 15일까지는 나카메구로역에서 도큐 도요코선과도 상호 직통 운전을 했었다.[106]

2020년 3월, 도부의 노선 차량을 포함한 20m급 차량으로의 교체가 완료되었고,[117] 같은 해부터 순차적으로 스크린도어 설치 공사를 실시하고 있다.[28]

2. 1. 개요

히비야선


히비야선은 메구로구나카메구로역과 아다치구기타센주역을 잇는 노선이다. 긴자선과 유사한 경로를 가지지만, 에비스, 롯폰기, 쓰키지 등 기존 노선에 없던 여러 중요 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쿄 메트로가 운영하는 노선 중 최초로 사철과 상호 직통 운전 서비스를 제공했으며, 도에이 아사쿠사선에 이어 도쿄 지하철 전체 노선 중 두 번째이다. 기타센주역에서 도부 스카이트리 라인과 연결되어 도부도부츠코엔역, 도부 닛코선미나미쿠리하시역까지 상호 직통 운행을 한다.[2] 일부 열차는 도부 스카이트리 라인의 다케노쓰카역, 기타코시가야역 등에서 종착한다.[2]

전체 지하철 노선 중 최초로 협궤를 사용했으며, 이후 건설된 도쿄 메트로 노선은 상호 직통 운전을 위해 이 궤도로 건설되었다. 2009년 6월 기준, 도쿄에서 8번째로 혼잡한 노선으로, 미노와역과 이리야역 사이에서 164%의 수용률을 보인다.[3]

지도, 노선도 등에서 은색으로 표시되며, 역에는 "H"라는 접두사가 붙은 번호가 매겨진다. 2020년 4월 14일부터 차량 출입문 배열을 통일하고 스크린도어를 설치하고 있다.

TH 라이너로 알려진 지정석 한정 급행 홈 라이너 서비스가 2020년 6월 6일부터 운행을 시작하여 히비야선과 도부선 일부 역에 정차한다.

1995년에는 지하철 사린 사건의 피해를 입기도 했다.

2. 2. 연혁

3. 운행 형태

히비야 선은 모든 열차가 노선 내 모든 역에 정차하는 각역정차(各驛停車) 운행을 한다. 기타센주역 - 나카메구로 역 간 운행 소요시간은 43분이다(표시속도 28.3km/h). 평일 아침 러시아워에는 약 2분 간격, 그 외 시간에는 5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일부 시간대에는 미나미센주역을 시·종착역으로 하는 열차와 도부 이세사키 선에서 진입하는 열차 및 기타센주역 출발 가스미가세키, 롯폰기 행 열차가 있으며, 나카메구로 출발 열차 중에는 막차 및 직전 열차 중에 히로오 행 열차가 있다.

기타센주역에서는 도부 이세사키 선을 경유하여 도부 닛코 선 미나미쿠리하시 역까지 상호직통운전을 한다. 평일 운행 시간대에는 10분 간격으로 노선 내 열차와 도부 이세사키 선 직통 열차가 교대로 운행된다. 도부 이세사키 선 직통 열차는 1시간 간격으로 도부 도부쓰코엔 역까지 가는 열차가 4편, 미나미쿠리하시 역 도착 열차가 2편 운행된다.

2013년 3월 15일까지는 나카메구로 역에서 도큐 도요코 선의 기쿠나역까지 상호직통운전을 했으나, 도큐 도요코 선과 후쿠토신 선이 상호 연결된 16일부터는 직통 운행을 하지 않는다.[2] 히비야선은 도부 스카이트리 라인과 연결되어 있으며, 나카메구로역과 도부 스카이트리 라인의 역 사이에서, 그리고 도부 닛코선의 역까지 상호 직통 운행을 한다.[2] 일부 피크 시간대 열차는 도부 스카이트리 라인의 역, 역 또는 역에서 종착한다.[2]

TH 라이너로 알려진 지정석 한정 급행 홈 라이너 서비스는 2020년 6월 6일부터 운행을 시작하여 히비야선과 도부선 일부 역에 정차한다.

종착역인 기타센주역에서 도부 이세사키선(도부 스카이트리 라인)을 경유하여 닛코선 미나미쿠리하시역까지 상호 직통 운전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TH 라이너'만 이세사키선 도부 동물공원역 - 쿠키역 구간과 직통 운전을 한다.

주간 시간대의 운전 간격은 10분 간격으로, 노선 내 열차와 도부 이세사키선 직통 열차가 교대로 운행된다. 도부 이세사키선 직통 열차는 1시간당 도부 동물공원역 발착 열차가 4편, 기타카스카베역 발착 열차가 2편 운행된다[130]

2013년3월 16일부터 미나미쿠리하시역까지 상호 직통 운전 구간이 연장되었다.[108][109] 주간에는 상하선 모두 소우카역과 센겐다이역에서 급행(한조몬선 경유 도큐 덴엔토시선 직통)에 연결되며, 미나미쿠리하시 발착 열차는 도부 동물공원역에서 쿠키역 발착 급행에 연결된다.

주간의 기타센주역 - 도부 동물공원역 간 보통 열차는 모든 열차가 히비야선 직통이다. 아침, 저녁 시간에는 다케노츠카역, 소우카역, 기타코시가야역, 미나미쿠리하시역을 시종착역으로 하는 열차도 운행되고 있다.

13000계의 차량 기지는 미나미센주역에 인접한 센주 검차구와 도부 이세사키선 내 다케노츠카역에 인접한 센주 검차구 다케노츠카 분실에 있다.

운용 번호의 끝은, 도부 차량이 '''T''', 자사 차량이 '''S'''이다. 운용 번호는 도부 차량이 01T - 33T와 41T - 47T의 홀수, 자사 차량이 02S - 74S의 짝수와 61S · 63S · 65S이다.

2013년 3월 15일까지는, 나카메구로역에서 도큐 도요코선 기쿠나역까지 상호 직통 운전을 했지만, 후쿠토신선과의 상호 직통 운전을 시작한 다음 날 16일부터, 도큐 도요코선과의 직통 열차는 설정되지 않았다.[106][107][108] 도큐 차량의 운용 번호의 끝은 '''K'''이며, 운용 번호는 81K - 85K로 설정되어 있었다.

4. 차량

도쿄 메트로 히비야선에는 개통 초기부터 다양한 종류의 전동차가 운행되었다. 1961년 개통 당시에는 3000계가 투입되었고, 이후 03계, 도부 2000계, 도부 20000계, 도큐 7000계, 도큐 1000계 등 다양한 차량이 운행되었다.[80][116][143][117][144]

2017년부터는 20m급 4도어 7량 편성의 13000계와 도부 70000계가 도입되어 기존 차량을 대체하기 시작했다.[111][112][113][114] 2020년에는 도부 70090계가 추가되어 현재는 이 세 종류의 차량이 운행되고 있다.[9]

히비야선 차량은 원래 18m급으로 설계되었으나, 도부와의 협의를 거쳐 18m 규격이 채택되었다.[133] 그러나 이후 모든 회사가 20m 차량을 표준으로 채택하면서, 히비야선 직통 전용 차량을 별도로 제조해야 하는 상황이 지속되었다. 2010년 도쿄 메트로는 모든 노선에 홈 도어 설치를 발표했고, 도부는 히비야선 직통 차량의 20m화를 요구해 왔다. 이에 따라 2011년부터 홈 도어 설치와 20m 차량 도입이 검토되기 시작했다.[136]

도쿄 메트로는 철도총연에 조사를 의뢰하여 소규모 개량으로 20m 차량 도입이 가능하다는 결과를 얻었다.[136] 이에 따라 롯폰기역 등 곡선 구간의 홈 개량, 건축 한계 조정, 교량 보강 등을 거쳐 20m 차량 도입이 결정되었다.[136] 새로운 차량은 18m 8량 편성에서 20m 7량 편성으로 변경되었으며, 도쿄 메트로와 도부 양사에서 사양을 통일하였다.[136]

과거에는 도큐 1000계만이 원 핸들 차량이었으나, 1000계 운행 종료 이후 한동안 원 핸들 차량이 없었다. 그러나 13000계와 70000계 도입으로 4년 만에 원 핸들 차량 운행이 재개되었다.

4. 1. 현재 운행 차량

현재 도쿄 메트로 히비야선에서 운행되는 차량은 다음과 같다.

  • 13000계 (7량 편성, 2017년 3월 25일 ~ )[7]
  • 도부 70000계 (7량 편성, 2017년 7월 7일 ~ )[8]
  • 도부 70090계 (7량 편성, 2020년 3월 20일 ~ , TH 라이너용)[9]


도쿄 메트로 13000계


도부 70000계


도부 70090계

4. 2. 과거 운행 차량


  • 3000계 (1961년 3월 28일 ~ 1994년 7월 23일)[80]
  • 03계 (1988년 7월 1일 ~ 2020년 2월 28일)[116]
  • 도부 철도 2000계 (1962년 5월 31일 ~ 1993년 8월 1일)[143]
  • 도부 20000계 (1988년 3월 25일 ~ 2020년 3월 27일)[117][144]
  • 도큐 7000계 (1964년 8월 29일 ~ 1991년 6월 3일)
  • 도큐 1000계 (1988년 12월 26일 ~ 2013년 3월 15일)


과거 운행 차량 사진
--
03계 (2018년 12월)
--
도부 20000계 (2020년 3월)
도큐 7000계 (1980년 3월)
--


5. 역 목록

번호역명일본어거리 (km)환승 노선소재지
역간H-01부터
H-01나카메구로[4]中目黒|나카메구로일본어-0.0도큐 전철 도요코선 (TY03)메구로구
H-02에비스恵比寿|에비스일본어1.01.0야마노테선 (JY 21), 사이쿄선 (JA 09), 쇼난 신주쿠 라인 (JS 18)시부야구
H-03히로오広尾|히로오일본어1.52.5미나토구
H-04롯폰기六本木|롯폰기일본어1.74.2오에도선 (E-23)
H-05가미야초神谷町|가미야초일본어1.55.7
H-06도라노몬 힐스[5]虎ノ門ヒルズ|도라노몬 힐스일본어0.86.5긴자선 (도라노몬: G-07)
H-07가스미가세키霞ケ関|가스미가세키일본어0.57.0마루노우치선 (M-15), 지요다선 (C-08)지요다구
H-08히비야日比谷|히비야일본어1.28.2지요다선 (C-09), 미타선 (I-08), 유라쿠초선 (유라쿠초: Y-18), 야마노테선 (유라쿠초, JY 30), 게이힌 도호쿠선 (유라쿠초, JK 25)
H-09긴자銀座|긴자일본어0.48.6긴자선 (G-09), 마루노우치선 (M-16), 유라쿠초선 (긴자잇초메: Y-19)주오구
H-10히가시긴자東銀座|히가시긴자일본어0.49.0아사쿠사선 (A-11)
H-11쓰키지築地|쓰키지일본어0.69.6유라쿠초선 (신토미초: Y-20)
H-12핫초보리八丁堀|핫초보리일본어1.010.6게이요선 (JE 02)
H-13가야바초茅場町|가야바초일본어0.511.1도자이선 (T-11)
H-14닌교초人形町|닌교초일본어0.912.0아사쿠사선 (A-14), 한조몬선 (스이텐구마에: Z-10)
H-15고덴마초小伝馬町|고덴마초일본어0.612.6
H-16아키하바라秋葉原|아키하바라일본어0.913.5야마노테선 (JY 03), 게이힌 도호쿠선 (JK 28), 소부선(각역정차)(JB 19), 쓰쿠바 익스프레스 (TX01), 신주쿠선 (이와모토초: S-08)지요다구
H-17나카오카치마치仲御徒町|나카오카치마치일본어1.014.5긴자선 (우에노히로코지: G-15), 오에도선 (우에노오카치마치: E-09), 야마노테선 (오카치마치, JY 04), 게이힌 도호쿠선 (오카치마치, JK 29)다이토구
H-18우에노上野|우에노일본어0.515.0긴자선 (G-16), 도호쿠 신칸센, 야마가타 신칸센, 아키타 신칸센, 홋카이도 신칸센, 조에쓰 신칸센, 호쿠리쿠 신칸센, 우쓰노미야선다카사키선우에노 도쿄 라인〉(JU 02), 게이힌 도호쿠선 (JK 30), 야마노테선 (JY 05), 조반선(쾌속) (JJ 01), 게이세이 전철 게이세이 본선 (게이세이 우에노: KS01)
H-19이리야入谷|이리야일본어1.216.2
H-20미노와三ノ輪|미노와일본어1.217.4
H-21미나미센주南千住|미나미센주일본어0.818.2조반선(쾌속) (JJ 04), 쓰쿠바 익스프레스 (TX04)아라카와구
H-22기타센주[6]北千住|기타센주일본어2.120.3도부 철도 이세사키선(도부 스카이트리 라인)(TS-09) (직통 운전은 아래 참조), 지요다선 (C-18), 조반선(쾌속) (JJ 05), 쓰쿠바 익스프레스 (TX05)아다치구
↓ 직통 운전 to/from 도부 스카이트리 라인 to 도부 동물공원 and to 미나미쿠리하시 via the 도부 닛코선



정기 열차의 대부분이 각역정차이지만, 평일, 토요일, 공휴일 모두 아침에 상행 2편, 저녁 - 밤에 하행 5편의 도부 70000계 70090형을 사용한 유료 좌석 지정 열차 "TH 라이너"가 운행되고 있다. 기타센주 - 나카메구로 간의 소요 시간은 43분(표정 속도는 28.3km/h)이다. 평일 아침, 저녁 러시 아워 시간대에는 약 2분 간격, 낮 시간대에는 5분 간격으로 운행되고 있다. 대부분의 열차가 전 구간을 통해 운행하지만, 일부 시간대에는 미나미센주를 시발·종착으로 하는 열차나, 도부선에서 및 기타센주 출발 롯폰기행, 나카메구로 출발의 막차 및 그 직전에는 히로오행 열차가 설정되어 있다.

역 번호역명역간 킬로미터누적 킬로미터TH
라이너
접속 노선소재지
H-01나카메구로-0.0style="text-align:center;"|도큐 전철 도요코선 (TY03)메구로구
H-02에비스1.01.0동일본 여객철도 야마노테선 (JY 21), 사이쿄선 (JA 09), 쇼난 신주쿠 라인 (JS 18)시부야구
H-03히로오1.52.5미나토구
H-04롯폰기1.74.2오에도선 (E-23)
H-05가미야초1.55.7
H-06도라노몬 힐스0.56.2긴자선 (도라노몬: G-07)
H-07가스미가세키0.87.0마루노우치선 (M-15), 지요다선 (C-08)지요다구
H-08히비야1.28.2지요다선 (C-09), 미타선 (I-08), 유라쿠초선 (유라쿠초: Y-18), 야마노테선 (유라쿠초, JY 30), 게이힌 도호쿠선 (유라쿠초, JK 25)
H-09긴자0.48.6긴자선 (G-09), 마루노우치선 (M-16), 유라쿠초선 (긴자잇초메: Y-19)주오구
H-10히가시긴자0.49.0아사쿠사선 (A-11)
H-11쓰키지0.69.6유라쿠초선 (신토미초: Y-20)
H-12핫초보리1.010.6게이요선 (JE 02)
H-13가야바초0.511.1도자이선 (T-11)
H-14닌교초0.912.0아사쿠사선 (A-14), 한조몬선 (스이텐구마에: Z-10)
H-15고덴마초0.612.6
H-16아키하바라0.913.5야마노테선 (JY 03), 게이힌 도호쿠선 (JK 28), 소부선(각역정차)(JB 19), 쓰쿠바 익스프레스 (TX01), 신주쿠선 (이와모토초: S-08)지요다구
H-17나카오카치마치1.014.5긴자선 (우에노히로코지: G-15), 오에도선 (우에노오카치마치: E-09), 야마노테선 (오카치마치, JY 04), 게이힌 도호쿠선 (오카치마치, JK 29)다이토구
H-18우에노0.515.0긴자선 (G-16), 도호쿠 신칸센, 야마가타 신칸센, 아키타 신칸센, 홋카이도 신칸센, 조에쓰 신칸센, 호쿠리쿠 신칸센, 우쓰노미야선다카사키선우에노 도쿄 라인〉(JU 02), 게이힌 도호쿠선 (JK 30), 야마노테선 (JY 05), 조반선(쾌속) (JJ 01), 게이세이 전철 게이세이 본선 (게이세이 우에노: KS01)
H-19이리야1.216.2
H-20미노와1.217.4
H-21미나미센주0.818.2조반선(쾌속) (JJ 04), 쓰쿠바 익스프레스 (TX04)아라카와구
H-22기타센주2.120.3도부 철도 이세사키선(도부 스카이트리 라인)(TS-09) (직통 운전은 아래 참조), 지요다선 (C-18), 조반선(쾌속) (JJ 05), 쓰쿠바 익스프레스 (TX05)아다치구
직통 운전 구간도부 닛코선 미나미쿠리하시까지
(TH 라이너만 도부 이세사키선 쿠키까지)

6. 특징

히비야선은 모든 열차가 각 역에 정차하는 방식으로 운행된다. 기타센주역 - 나카메구로역 구간의 운행 소요 시간은 43분(표시 속도 28.3km)이다. 평일 아침 러시아워에는 약 2분 간격, 그 외 시간에는 5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일부 시간대에는 미나미센주역을 시·종착역으로 하는 열차, 도부 이세사키선에서 진입하는 열차, 기타센주역 출발 가스미가세키·롯폰기행 열차가 운행된다. 나카메구로역 출발 열차 중에는 막차 및 직전 열차로 히로오역행 열차가 편성되어 있다.

기타센주역에서는 도부 이세사키선을 경유하여 도부 닛코선 미나미쿠리하시역까지 상호직통운전을 실시한다. 평일에는 10분 간격으로 노선 내 운행 열차와 도부 이세사키선 직통 열차가 번갈아 운행된다. 도부 이세사키선 직통 열차는 1시간에 도부 도부쓰코엔역행 4편, 미나미쿠리하시역행 2편이 운행된다.

2013년 3월 15일까지는 나카메구로역에서 도큐 도요코선 기쿠나역까지 상호직통운전을 했으나, 도큐 도요코선과 후쿠토신선 상호 연결 이후에는 직통 운행을 하지 않는다.

히비야선은 메구로구나카메구로역아다치구기타센주역을 연결한다. 긴자선과 비슷한 경로를 지나지만, 에비스, 롯폰기, 쓰키지, 가야바초, 센주 등 기존 노선에 없던 주요 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선으로 설계되었다.

2014년 10월, 도쿄 메트로 히비야선 역무원


도쿄 메트로에서 운영하는 노선 중 최초로 사철과 상호 직통 운전 서비스를 제공했으며, 도에이 아사쿠사선에 이어 도쿄 지하철 전체 노선 중 두 번째이다. 기타센주역에서 도부 스카이트리 라인과 연결되어 나카메구로역도부 도부쓰코엔역, 그리고 도부 닛코선미나미쿠리하시역까지 상호 직통 운행을 한다.[2] 일부 피크 시간대 열차는 도부 스카이트리 라인의 다케노쓰카역, 기타코시가야역, 기타카스카베역에서 종착한다.[2]

히비야선은 도쿄 지하철 노선 중 최초로 협궤를 사용했으며(이전 노선은 표준궤 사용), 이후 건설된 도쿄 메트로의 모든 노선은 상호 직통 운전을 위해 이 궤도로 건설되었다.

도쿄도 교통국에 따르면, 2009년 6월 기준 히비야선은 도쿄에서 8번째로 혼잡한 지하철 노선이며, 미노와역과 이리야역 사이 구간에서 164%의 수용률을 기록했다.[3]

지도, 노선도 및 표지판에서 히비야선은 은색으로 표시되며, 각 역에는 "H"라는 접두사가 붙은 번호가 매겨진다.

차량당 3개와 5개의 출입문이 혼합된 구형 열차가 퇴역함에 따라, 2020년 4월 14일부터 차량당 4개의 출입문으로 통일된 배열을 갖춘 스크린도어가 설치되고 있다.

TH 라이너로 알려진 지정석 한정 급행 홈 라이너 서비스는 2020년 6월 6일부터 운행을 시작하여 히비야선과 도부선 일부 역에 정차한다.

6. 1. 노선 데이터


  • 영업 거리: 20.3km (지상 구간: 2.9km 포함)[18]
  • 궤간: 1,067 mm[18]
  • 역 수: 22개 역 (기점역 및 종점역 포함)[18]
  • 복선 구간: 전 구간
  • 전철화 구간: 전 구간 (직류 1,500V, 가공 전차선 방식)[18]
  • 폐색 방식: 속도 제어식 (신CS-ATC)
  • 열차 무선 방식: 유도 무선 (IR) 방식
  • 최고 속도: 80km/h[18][20]
  • 평균 속도: 33.9km/h (2021년 4월 1일 현재)[18]
  • 표정 속도: 27.1km/h (2021년 4월 1일 현재)[18]
  • 전 구간 소요 시간: 45분 00초 (2021년 4월 1일 현재)[18]
  • 최급 구배: 39‰[19] (미나미센주역 - 미노와역 간[19])
  • 이 급구배 구간은 반경 160m의 곡선 지점에 있으며, 주행하는 열차에는 44‰ 구배 상당의 저항이 걸린다.[29]
  • 본선은 아니지만, 미나미센주역에서 센주 차량기지로의 입출고선에는 40‰의 구배가 있다.[30]
  • 최소 곡선 반경: 126.896m[19] (히비야→가스미가세키 간・A선(내측)[19])
  • 가야바초→닌교초・히가시긴자→쓰키지・롯폰기→가미야초 간의 B선(내측)에도 127.044m의 급곡선이 있다.[19] 곡선의 외측도 131m의 급곡선이다.[19]
  • 차량 기지: 센주 검차구・센주 검차구 다케노츠카 분실 (도부 이세사키선 내)
  • 공장: 사기누마 공장 (도큐 덴엔토시선 내)
  • 지상 구간: 기타센주역 - 미노와역 부근 (약 2.63km), 나카메구로역 부근 (310m)

6. 2. 지상 구간

북센주 - 미나미센주 부근은 고가 지상 구간이지만, 당초에는 지하식으로 할 안도 있었다.[33] 그러나 당시 기타센주역에는 국철·도부 철도의 화물 측선이 다수 있었고, 연약 지반 지대에서 이들 선로를 임시로 받쳐 굴착하는 것은 난공사가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33] 또한 스미다강을 횡단하는 데는 교량 방식과 지하 방식이 있는데, 지하 방식은 많은 비용이 필요했지만, 기타센주 - 미나미센주 간에는 국철로부터 지상선 용지를 취득할 수 있었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유리한 교량 방식이 되었다.[33]

미나미센주역 부근에는 닛코 가도와 국철 스미다강 화물선의 평면 교차(건널목)가 있으며, 장래적으로 도쿄도는 도로를 지하화하여 입체 교차로 할 계획이 있어, 히비야선을 지하 방식으로 할 경우에는 지하 8m 이하로 할 것이 요구되었다.[33] 이 부근도 연약 지반 지대이며, 더욱이 스미다강 화물역의 측선군 지하를 굴착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곤란할 것으로 예상되었다.[33] 이러한 이유로, 기타센주 - 미나미센주 간은 지상 구간으로 하고, 닛코 가도를 넘는 부근까지는 고가선으로 하는 현재의 구조가 되었다.[33]

히비야선의 스미다강 교량은 조반선 스미다강 교량 바로 하류에 있으며, 영단 지하철로서는 최초의 본격적인 교량 공사였다.[33] 교량은 지간 65.5m의 2경간 연속 복선 하로 와렌 트러스교로, 제작은 요코가와교량제작소(현 요코가와 브리지)이며, 연장 131m, 중량은 약 390ton이다.[33]

6. 3. 지하 구간

북센주 - 미나미센주 부근은 고가 지상 구간이지만, 당초에는 지하식으로 할 안도 있었다.[33] 그러나 당시 기타센주역에는 국철·도부 철도의 화물 측선이 다수 있었고, 연약 지반 지대에서 이들 선로를 임시로 받쳐 굴착하는 것은 난공사가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33] 또한 스미다강을 횡단하는 데는 교량 방식과 지하 방식이 있는데, 지하 방식은 많은 비용이 필요했지만, 기타센주 - 미나미센주 간에는 국철로부터 지상선 용지를 취득할 수 있었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유리한 교량 방식이 되었다.[33]

미나미센주역 부근에는 닛코 가도와 국철 스미다강 화물선의 평면 교차(건널목)가 있으며, 장래적으로 도쿄도는 도로를 지하화하여 입체 교차로 할 계획이 있어, 히비야선을 지하 방식으로 할 경우에는 지하 8m 이하로 할 것이 요구되었다.[33] 이 부근도 연약 지반 지대이며, 더욱이 스미다강 화물역의 측선군 지하를 굴착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곤란할 것으로 예상되었다.[33] 이러한 이유로, 기타센주 - 미나미센주 간은 지상 구간으로 하고, 닛코 가도를 넘는 부근까지는 고가선으로 하는 현재의 구조가 되었다.[33]

히비야선의 스미다강 교량은 조반선 스미다강 교량 바로 하류에 있으며, 영단 지하철로서는 최초의 본격적인 교량 공사였다.[33] 교량은 지간 65.5m의 2경간 연속 복선 하로 와렌 트러스교로, 제작은 요코가와교량제작소(현 요코가와 브리지)이며, 연장 131m·중량은 약 390ton이다.[33]

6. 4. 건설 비용

도쿄 메트로 히비야선의 건설 비용은 1966년 6월 기준으로 총 635.6억이다[43]

항목비용 (엔)
토목 관계비41231570000JPY
전기 관계비4122779000JPY
차량 관계비9907257000JPY
기타8298394000JPY



1967년 6월, 영단 지하철은 히비야선 전 노선을 8량 편성으로 늘리는 수송력 증강 계획을 세웠고, 이 비용을 건설 비용에 포함하기로 했다[43]。이에 따라 건설 비용 총액은 652.46억으로 변경되었다[43]

이후 계획 변경을 거쳐 1971년 5월에 전 노선 8량 편성화가 완료되었고, 1988년까지 8량 편성 38개 편(총 304량)이 운행되었다.


  • 제1기 계획
  • 1968년 6월을 목표로 차량 6량을 추가하여, 총 6량 편성 39개 편(234량)으로 증편한다[43]
  • 1971년 5월을 목표로 차량 62량을 추가하여, 8량 편성 및 6량 편성(총 296량)으로 증편한다[43]
  • 기타센주 - 가야바초 구간의 10개 역 승강장 연장 공사(8량 편성 대응), 차량기지 확장, 변전소 설비 증설을 실시하고, 차량 비용(68량)을 포함하여 5200495000JPY이 소요된다[43]
  • 제2기 계획(최종 계획)
  • 차량기지, 변전소 설비 증설을 실시하고, 차량 비용을 포함하여 46.6억이 소요된다[43]
  • 히비야선의 차량은 136량을 추가하여 8량 편성 54개 편(총 432량)으로 증편한다[43]
  • 단, 히비야선 수송력 증강 계획 비용 중 제1기 계획만 건설 비용에 포함하기로 했다[43]

참조

[1] 간행물 Tokyo Metro station ridership in 2010 http://www.train-med[...] Train Media (sourced from Tokyo Metro) 2018-07-23
[2] 간행물 Tobu Timetable 2013-03-16
[3] 잡지 Commute http://archive.metro[...] 2009-06-12
[4] 문서 Naka-meguro station management
[5] 웹사이트 The name for the Hibiya Line new station has been finalised to be "Toranomon Hills Station"! https://www.tokyomet[...] 2018-12-05
[6] 문서 Kita-senju station management
[7] 웹사이트 Tokyo Metro 13000 series enters full revenue service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7-03-27
[8] 웹사이트 Tobu 70000 series enters revenue service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7-07-08
[9] 웹사이트 Tobu 70090 series starts commercial operation https://railf.jp/new[...] Koyusha Co., Ltd. 2020-03-21
[10] 웹사이트 Tokyo Metro Hibiya Line 03 series train retires, the first new air-conditioned car on the Teito Rapid Transit Authority https://trafficnews.[...] 2020-03-03
[11] 서적 "History of construction of Tokyo Metro Hibiya Line" https://metroarchive[...] 2014-05-30
[12] 웹사이트 日比谷線の列車脱線衝突 http://shippai.jst.g[...] 2009-03-11
[13] 웹사이트 From "Teito Rapid Transit Authority" to "Tokyo Metro" https://www.tokyomet[...] 2006-07-08
[14] 웹사이트 Through operation between the Tokyu Toyoko Line and Tokyo Metro Hibiya Line ends https://railf.jp/new[...] Koyusha Co., Ltd. 2013-03-16
[15] 웹사이트 混雑率の推移 https://www.mlit.go.[...]
[16] 뉴스 Tokyo plans new effort to ease commuter hell on rush-hour trains https://www.japantim[...] The Japan Times 2017-07-06
[17] 웹사이트 東使用京都統計年鑑(平成31年・令和元年)/運輸 https://www.toukei.m[...] 東京都 2021-07-31
[18] 웹사이트 令和3年度 地下鉄事業の現況 http://www.jametro.o[...] 一般社団法人日本地下鉄協会 2021-10
[19] 서적 東京地下鉄道日比谷線建設史
[20] 서적 日本縦断! 地下鉄の謎 実業之日本社 2016-12-09
[21] 웹사이트 東京メトロ オープンデータ 開発者サイト https://developer.to[...] 東京地下鉄 2021-06-04
[22] 서적 東京地下鉄道丸ノ内線建設史(上巻)
[23] 서적 東京地下鉄道日比谷線建設史
[24] 서적 東京地下鉄道日比谷線建設史
[25] 서적 東京地下鉄道日比谷線建設史
[26] 서적 東京地下鉄道日比谷線建設史
[27] 서적 東京地下鉄道日比谷線建設史
[28] 웹사이트 東京メトログループ中期経営計画 東京メトロプラン2018 〜「安心の提供」と「成長への挑戦」〜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21-01-30
[29] 서적 東京地下鉄道日比谷線建設史
[30] 서적 東京地下鉄道日比谷線建設史
[31] 서적 東京地下鉄道日比谷線建設史
[32] 서적 東京地下鉄道日比谷線建設史
[33] 서적 東京地下鉄道日比谷線建設史
[34] 서적 東京地下鉄道日比谷線建設史
[35] 서적 東京地下鉄道日比谷線建設史
[36] 서적 東京地下鉄道日比谷線建設史
[37] 서적 東京地下鉄道日比谷線建設史
[38] 간행물 地下鉄2号線の路下式潜函工法 - 日比谷1工区の土木工事 - 土木技術社 1965-07
[39] 서적 間組百年史 1945-1989 写真編 間組
[40] 서적 間組百年史 1945 - 1989 間組
[41] 문서 일반적인 공구 모두를 잠함 공법(케이슨 공법)으로 건설하는 방법에서는, 1964년 도쿄 올림픽 개최까지는 시간이 부족하다.
[42] 서적 東京地下鉄道日比谷線建設史
[43] 서적 東京地下鉄道日比谷線建設史
[44] 서적 東京地下鉄道丸ノ内線建設史(上巻)
[45] 서적 東京地下鉄道丸ノ内線建設史(上巻)
[46] 문서 현재(전후)의 도시계획 제3호선(긴자선)과는 다르다.
[47] 서적 東京地下鉄道日比谷線建設史
[48] 서적 東京地下鉄道丸ノ内線建設史(上巻)
[49] 서적 東京地下鉄道東西線建設史
[50] 서적 東京地下鉄道有楽町線建設史
[51] 서적 東京地下鉄道日比谷線建設史
[52] 서적 東京地下鉄道日比谷線建設史
[53] 서적 東京地下鉄道日比谷線建設史
[54] 서적 東京地下鉄道日比谷線建設史
[55] 서적 東京地下鉄道日比谷線建設史
[56] 웹사이트 東京メトロニュースレター第78号 >「日比谷線の歩み」編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20-06-02
[57] 서적 東京地下鉄道日比谷線建設史
[58] 서적 東京地下鉄道日比谷線建設史
[59] 서적 東京地下鉄道日比谷線建設史
[60] 서적 東京地下鉄道日比谷線建設史
[61] 서적 帝都高速度交通営団史
[62] 서적 東京地下鉄道東西線建設史
[63] 간행물 営団地下鉄 思い出の路線風景 전기차 연구회 1995-07-10
[64] 서적 帝都高速度交通営団史
[65] 뉴스 「燃えない地下鉄」この通り 日比谷線の火事 ラッシュなら大惨事 「不燃」を過信、処置遅れる 요미우리 신문사 1968-01-28
[66] 서적 営団地下鉄五十年史
[67] 서적 東京地下鉄道日比谷線建設史
[68] 서적 帝都高速度交通営団史
[69] 서적 帝都高速度交通営団史
[70] 뉴스 地下の足連日「迷惑」車両火噴き猛煙 日比谷線広尾ー六本木 乗客は避難、大混雑 요미우리 신문사 1972-11-21
[71] 서적 帝都高速度交通営団史
[72] 서적 帝都高速度交通営団史
[73] 서적 帝都高速度交通営団史
[74] 서적 東京地下鉄道有楽町線建設史
[75] 서적 帝都高速度交通営団史
[76] 서적 帝都高速度交通営団史
[77] 뉴스 乗り降りスムーズに 営団日比谷線 5扉車来月17日デビュー 交通新聞社 1990-08-31
[78] 서적 帝都高速度交通営団史
[79] 뉴스 出入庫の電車が衝突し脱線 地下鉄日比谷線 読売新聞社 1992-06-16
[80] 논문 3000系の誕生から終焉、そして現在 電気車研究会 1995-07-10
[81] 뉴스 営団3000系 22日に引退 さよなら「マッコウクジラ」 交通新聞社 1994-07-14
[82] 논문 東京地下鉄 現有車両プロフィール&データファイル2005 電気車研究会 2005-03-10
[83] 문서 乗り入れ車両を含む。
[84] 서적 帝都高速度交通営団史
[85] 서적 帝都高速度交通営団史
[86] 보도자료 着々と進む北千住駅大改良工事 12月11日(水)から日比谷線・東武日比谷線相互直通ホームが2面3線に 都心方向への発車ホームは6・7番線を使用 http://www.tobu.co.j[...] 東武鉄道/営団地下鉄 1996-11-28
[87] 보도자료 3月25日(火)に北千住駅改良工事が完成 より一層のサービス向上をめざし同日からダイヤ改正も実施 http://www.tobu.co.j[...] 東武鉄道/営団地下鉄 1997-03-18
[88] 보도자료 4社共同「鉄道の日」記念列車 “ドリームエクスプレス'97”を運転 http://www.tokyometr[...] 営団地下鉄/小田急電鉄/東京急行電鉄/東武鉄道 1997-08-27
[89] 보도자료 お詫び http://www.tokyometr[...] 営団地下鉄 2000-03-17
[90] 서적 帝都高速度交通営団史
[91] 보도자료 平成12年12月12日 営団地下鉄・都営地下鉄連絡普通旅客運賃の変更 営団地下鉄・都営地下鉄共通一日乗車券の発売 日比谷線仲御徒町駅を発着とする一部区間の普通旅客運賃の変更 都営地下鉄通過連絡(営団-都営-営団)定期乗車券発売区間の追加 http://www.tokyometr[...] 営団地下鉄 2000-11-15
[92] 서적 帝都高速度交通営団史
[93] 서적 帝都高速度交通営団史
[94] 보도자료 より親しまれる地下鉄を目指して 日比谷線の新CS-ATC化工事が完成いたします。日比谷線のダイヤ改正を行います。平成15年10月18日(土)から https://www.tokyomet[...] 営団地下鉄 2003-10-09
[95] 논문 鉄道記録帳2003年10月 鉄道友の会 2004-01-01
[96] 논문 輸送と運転 近年の動向 電気車研究会 2005-03-10
[97] 보도자료 「営団地下鉄」から「東京メトロ」へ https://www.tokyomet[...] 営団地下鉄 2004-01-27
[98] 보도자료 平成18年3月27日(月) 日比谷線で女性専用車両を導入します http://www.tokyometr[...] 東京地下鉄 2006-03-13
[99] 보도자료 2006年9月25日(月)、東横線・目黒線など5路線でダイヤ改正を実施します 目黒線で急行運転を開始し、目黒〜武蔵小杉間の所要時間を5分短縮 東横線でも武蔵小杉〜日吉間の高架化により日中の所要時間を短縮 https://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06-06-19
[100] 보도자료 2007年8月23日(木)、東横線・みなとみらい線のダイヤ改正を実施 https://www.tokyu.co[...] 東京急行電鉄/横浜高速鉄道 2007-07-25
[101] 보도자료 9月10日から節電対策を見直します。列車ダイヤ・駅冷房等を通常どおりに戻す一方、照明関係は一部消灯を継続します。 http://www.tokyometr[...] 東京地下鉄 2011-09-05
[102] 보도자료 東京メトロのトンネル内携帯電話利用可能エリアが大幅に拡大しさらに便利になります! 丸ノ内線 茗荷谷駅〜淡路町駅間 日比谷線 日比谷駅〜中目黒駅間 千代田線 綾瀬駅〜湯島駅間 南北線 後楽園駅〜本駒込駅間 東京メトロホームページで利用可能区間のご案内を始めます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12-08-27
[103] 보도자료 東京メトロのトンネル内携帯電話利用可能エリアが拡大します! 丸ノ内線 新中野駅〜荻窪駅間 日比谷線 築地駅〜日比谷駅間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12-11-07
[104] 보도자료 東京メトロのトンネル内携帯電話利用可能エリアがさらに拡大! 銀座線 青山一丁目駅〜渋谷駅間 日比谷線 小伝馬町駅〜築地駅間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12-11-29
[105] 보도자료 ますます拡大! 東京メトロのトンネル内携帯電話利用可能エリア 平成25年3月7日(木)より日比谷線・東西線の全線で携帯電話のご利用が可能に! 日比谷線 南千住駅〜小伝馬町駅間 東西線 九段下駅〜日本橋駅間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13-03-05
[106] 보도자료 東京メトロ副都心線との相互直通運転開始に伴い3月16日(土)に東横線のダイヤを改正します http://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13-01-22
[107] 보도자료 平成25年3月16日(土)から相互直通運転開始 副都心線と東急東横線・横浜高速みなとみらい線がつながります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12-07-24
[108] 보도자료 日比谷線 ・千代田線 ・半蔵門線 ・南北線 平成25年3月16日(土)にダイヤ改正を実施します ―お客様の利便性向上に向けて―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13-02-14
[109] 보도자료 快速・区間快速列車が「とうきょうスカイツリー駅」に停車!! 3月16日(土)東武スカイツリーライン・伊勢崎線・日光線 ダイヤ改正 http://www.tobu.co.j[...] 東武鉄道 2013-02-14
[110] 보도자료 平成25年3月16日(土)東京の地下鉄がさらに便利になります https://www.tokyomet[...] 東京都交通局/東京地下鉄 2013-02-15
[111] 보도자료 東京メトロ日比谷線、東武スカイツリーラインに新型車両を導入します ‐日比谷線・東武スカイツリーライン新型車両を導入し、日比谷線にホームドアを設置‐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東武鉄道 2014-04-30
[112] 보도자료 東京メトロ日比谷線・東武スカイツリーライン新型車両の形式と基本仕様が決定 相互直通車両の仕様共通化を促進し、すべての車両をご利用いただきやすくします! 〜2019年度までに導入を進めます〜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東武鉄道 2015-06-17
[113] 보도자료 日比谷線新型車両13000系 2017年3月25日(土)から本格運行開始します! 東武スカイツリーラインとの直通運転にて使用、2020 年中に全編成導入します!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17-03-15
[114] 보도자료 東武スカイツリーライン・東京メトロ日比谷線直通新型車両「70000系」7月7日(金)運行開始 https://www.tobu.co.[...] 東武鉄道 2017-06-22
[115] 보도자료 日比谷線車内で日中時間帯にBGM放送を試行運用します 13000系車両において2018年1月29日(月)から運用開始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18-01-24
[116] 뉴스 東京メトロ日比谷線03系電車が引退 イベントもなく 営団地下鉄で初の新製冷房車 https://trafficnews.[...] 2020-03-03
[117] 웹사이트 来年で”還暦”の日比谷線 車両更新は完了し、ただいま激変中 https://dot.asahi.co[...] 朝日新聞出版 2020-04-21
[118] 보도자료 2020年6月6日(土)日比谷線虎ノ門ヒルズ駅 開業 https://www.tokyomet[...] 独立行政法人都市再生機構/東京地下鉄 2020-06-02
[119] 보도자료 日比谷線に虎ノ門ヒルズ駅が誕生します! 2020年6月6日(土)開業 https://www.tokyomet[...] 独立行政法人都市再生機構/東京地下鉄 2019-11-11
[120] 보도자료 東京メトロ線でのお乗換えがさらに便利になります! 新たな乗換駅の設定(虎ノ門駅⇔虎ノ門ヒルズ駅、銀座駅⇔銀座一丁目駅)改札外乗換時間を30分から60分に拡大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20-05-14
[121] 보도자료 2020年6月6日(土)日比谷線のダイヤを改正します 「THライナー」の運行開始及び平日の霞ケ関駅行列車を中目黒駅行に変更します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20-05-11
[122] 보도자료 2020年6月6日(土)東武鉄道・東京メトロダイヤ改正 東武線・日比谷線相互直通列車に初の座席指定制列車「THライナー」が誕生! https://www.tobu.co.[...] 東武鉄道/東京地下鉄 2019-12-19
[123] 뉴스 東武鉄道がダイヤ改正 久喜から日比谷線に直通、座席指定「THライナー」運行 都心との往来を快適に https://saitama-np.c[...] 2020-06-07
[124] 서적 営団地下鉄五十年史
[125] 서적 東京地下鉄道日比谷線建設史
[126] 서적 東京地下鉄道日比谷線建設史
[127] 문서 沿線の広大な農地を農地転用転用できたため、大規模開発が可能であった。具体的には竹ノ塚団地、北三谷団地、武里団地、栗原団地など。
[128] 서적 東武鉄道百年史
[129] 서적 東武鉄道百年史
[130] 보도자료 東武スカイツリーライン・伊勢崎線・日光線等にて 2022年3月12日(土)ダイヤ改正を実施します 〜ご利用状況を踏まえた運転本数の見直しや最終列車の繰り上げ等を実施します〜 https://www.tobu.co.[...] 東武鉄道 2021-12-10
[131] 보도자료 東横線に「特急」を新設 2001年3月28日(水)の東横線ダイヤ改正から https://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01-02-02
[132] 보도자료 2003年3月19日(水)、東急線全線のダイヤを改正します。東横線の平日の朝・夕に通勤特急を新設するほか、特急停車駅に中目黒を追加します。 https://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03-01-24
[133] 서적 東京の地下鉄相互直通ガイド 創元社 2018-09-25
[134] 서적 東京地下鉄道東西線建設史
[135] 학술지 私鉄車両めぐり〔135〕帝都高速度交通営団 電気車研究会 1987-12-10
[136] 학술지 東京メトロ日比谷線 20m化の記録 交友社 2020-12-01
[137] 보도자료 東京地下鉄株式会社殿日比谷線新型車両受注に関するお知らせ http://www.kinkishar[...] 近畿車輛 2014-11-06
[138] 보도자료 東武鉄道株式会社殿東武スカイツリーライン新型車両(東京メトロ日比谷線相互直通運転車両)の製作者に決定しました http://www.kinkishar[...] 近畿車輛 2015-06-17
[139] 뉴스 東武鉄道、新型70000系公開 沿線風景をデザイン、6月から運転 http://www.saitama-n[...] 2017-04-13
[140] 웹사이트 東武70090形営業運転を開始 https://railf.jp/new[...] 交友社 2020-03-21
[141] 웹사이트 のりかえ出口案内 - 日比谷線/H https://www.tokyomet[...]
[142] 논문 【連載】私の鉄道人生75年史-第10回 再び本社車両課に勤務(その2)-日比谷線3000系の設計- 電気車研究会 2007-10-01
[143] 뉴스 新型車への置換え完了 東武の日比谷線乗り入れ車両 交通新聞社 1993-08-05
[144] 웹사이트 次のステージへと向かう東武鉄道唯一の18m車両、日比谷線第2世代車両20000系 https://dime.jp/genr[...] 2018-05-27
[145] 문서 東京地下鉄道日比谷線建設史
[146] 문서 東京地下鉄道日比谷線建設史
[147] 웹사이트 女性専用車 日比谷線 http://www.tokyometr[...] 2016-07-08
[148] 웹사이트 最混雑区間における混雑率(令和5年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4-08-02
[149] 웹사이트 【鉄道混雑率ランキング2023最新版】3位埼京線、1位は?東京メトロで大変動も https://diamond.jp/a[...] ダイヤモンド社 2024-08-26
[150] 웹사이트 東京地下鉄 平成19年度1日平均乗降人員・通過人員 https://www.train-me[...] 関東交通広告協議会
[151] 간행물 都市交通年報
[152] 웹사이트 地域の復権―東京一極集中を越えて(昭和62年9月) http://www.pref.kana[...] 神奈川県 1987-09
[153] 논문 駅務、乗務区のあらまし 電気車研究会 2015-12-10
[154] 보도자료 3月17日(土)から新たな乗換駅の設定を開始します 人形町駅(東京メトロ・都営交通)⇔水天宮前駅、築地駅⇔新富町駅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18-02-15
[155] 문서 3社とも乗り換え案内は行っているが、連絡業務を行っていない(詳細は南千住駅の項を参照)。
[156] 문서 北千住駅は他社接続の共同使用駅で、東武鉄道の管轄駅である。
[157] 보도자료 日比谷線 秋葉原駅・銀座駅 千代田線 乃木坂駅 お客様リクエストによる 発車メロディ導入曲決定! ~リクエスト楽曲第1位は、乃木坂駅の乃木坂46「君の名は希望」~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16-01-20
[158] 보도자료 千代田線 乃木坂駅 日比谷線 秋葉原駅・銀座駅 お客様リクエストによる発車メロディ導入日決定! 3月26日(土)始発より乃木坂駅から順次導入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16-03-22
[159] 웹사이트 東京メトロ 日比谷線「秋葉原駅・銀座駅」発車メロディ制作! http://www.switching[...] スイッチ 2016-01-20
[160] 웹사이트 東京メトロ日比谷線発車サイン音を制作 http://www.switching[...] スイッチ 2020-02-07
[161] 웹사이트 東京メトロ日比谷線車載メロディを制作 http://www.switching[...] スイッチ
[162] 보도자료 相互直通運転を行っている東急田園都市線・東京メトロ半蔵門線の信号保安システムを 2028年度に同一の無線式列車制御システムに更新します ~列車の遅延をより早く解消し、運行の安定性向上に取り組みます~ |ニュースリリース|東急電鉄株式会社 https://www.tokyu.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